일본 프로 야구 최다 승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프로 야구 최다 승리 투수는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승리를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되는 타이틀이다. 1936년 사와무라 에이지가 13승으로 최초의 최다 승리 투수가 되었으며, 1939년 빅토르 스타루힌은 42승을 기록하여 단일 리그 시대 최다 승리 기록을 세웠다. 양대 리그 시대에는 1961년 이나오 가즈히사가 42승으로 NPB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빅토르 스타루힌은 통산 6번으로 최다 수상자이며, 와쿠이 히데아키, 스가노 도모유키, 야마모토 요시노부도 여러 차례 이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상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퍼시픽 리그는 1953년부터, 센트럴 리그는 1967년부터 시상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했으며,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 2013년부터는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은 각 리그에서 가장 높은 출루율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타이틀로,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희생 플라이 등을 포함한 타자의 출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오 사다하루가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은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에서 포지션별 최고의 수비 능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1972년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으로 시작하여 1986년부터 미쓰이 그룹의 후원을 받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프로 야구 기자들의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상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퍼시픽 리그는 1953년부터, 센트럴 리그는 1967년부터 시상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했으며,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 2013년부터는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퍼시픽 리그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퍼시픽 리그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일본 프로 야구 최다 승리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프로 야구 |
수상 대상 | 시즌을 통해 가장 많은 승리 투수가 된 선수 |
별칭 | 최다승 |
처음 수상 | 1936년 |
처음 수상자 | 사와무라 에이지 |
최다 수상 | 6회 빅토르 스타루힌 |
최근 수상자 | 스가노 도모유키 아리하라 고헤이 이토 히로미 |
기록 | "42" 빅토르 스타루힌 (1939년) 이나오 가즈히사 (1961년) |
2. 연도별 최다 승리 투수
연도 | 성명 | 소속 | 승수 |
---|---|---|---|
1936 추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13 |
1937 춘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24 |
1937 추계 | 니시무라 유키오 | 오사카 타이거스 | 15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
노구치 아키라 | 도쿄 세네터스 | ||
1938 춘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4 |
1938 추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9 |
1939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
1940 | 스다 히로시 | 도쿄 교진군 | 38 |
1941 | 모리 고타로 | 한큐군 | 30 |
1942 | 노구치 지로 | 다이요군 | 40 |
1943 | 후지모토 히데오 | 도쿄 교진군 | 34 |
1944 | 와카바야시 다다시 | 한신군 | 22 |
1946 | 시라키 기이치로 | 세네터스 | 30 |
1947 | 벳쇼 아키라 | 난카이 호크스 | 30 |
1948 | 가와사키 도쿠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나카오 히로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949 | 빅토르 스타루힌 | 다이에이 스타스 | 27 |
- '''굵은 글씨'''는 리그 기록.
- 는 NPB 역대 최고 성적
요약에 나온 문구를 첫 줄에 추가한다.
```text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승리를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된다.
연도 | 성명 | 소속 | 승수 |
---|---|---|---|
1936 추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13 |
1937 춘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24 |
1937 추계 | 니시무라 유키오 | 오사카 타이거스 | 15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
노구치 아키라 | 도쿄 세네터스 | ||
1938 춘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4 |
1938 추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9 |
1939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
1940 | 스다 히로시 | 도쿄 교진군 | 38 |
1941 | 모리 고타로 | 한큐군 | 30 |
1942 | 노구치 지로 | 다이요군 | 40 |
1943 | 후지모토 히데오 | 도쿄 교진군 | 34 |
1944 | 와카바야시 다다시 | 한신군 | 22 |
1946 | 시라키 기이치로 | 세네터스 | 30 |
1947 | 벳쇼 아키라 | 난카이 호크스 | 30 |
1948 | 가와사키 도쿠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나카오 히로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949 | 빅토르 스타루힌 | 다이에이 스타스 | 27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
|-
! rowspan="2" | 연도
! style="background-color:#8b8" colspan="3" | 센트럴 리그
! style="background-color:#8ce" colspan="3" | 퍼시픽 리그
|-
! style="background-color:#8b8" | 성명
! style="background-color:#8b8" | 소속
! style="background-color:#8b8" | 승수
! style="background-color:#8ce" | 성명
! style="background-color:#8ce" | 소속
! style="background-color:#8ce" | 승수
|-
| 1950 || 사나다 시게오 || 쇼치쿠 로빈스 || '''39''' || 아라마키 아쓰시 || 마이니치 오리온스 || 26
|-
| 1951 || 스기시타 시게루 || 나고야 드래건스 || 28 || 에토 다다시 || 난카이 호크스 || 24
|-
| 1952 || 벳쇼 다케히코 || 요미우리 자이언츠 || 33 || 노구치 마사아키 || 니시테쓰 라이온스 || 23
|-
| 1953 || 오토모 다쿠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가와사키 도쿠지 || 니시테쓰 라이온스 || 24
|-
| rowspan="2" | 1954 || rowspan="2" | 스기시타 시게루 || rowspan="2" | 주니치 드래건스 || rowspan="2" | 32 || 다쿠와 모토지 || 난카이 호크스 || 26
|-
| 다나카 후미오 || 긴테쓰 펄스
|-
| rowspan="2" | 1955 || 오토모 다쿠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 30 || rowspan="2" | 다쿠와 모토지 || rowspan="2" | 난카이 호크스 || rowspan="2" | 24
|-
| 하세가와 료헤이 || 히로시마 카프
|-
| 1956 || 벳쇼 다케히코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미우라 마사요시 || 다이에이 스타스 || 29
|-
| 1957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스왈로스 || 28 || 이나오 가즈히사 || 니시테쓰 라이온스 || 35
|-
| 1958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스왈로스 || 31 || 이나오 가즈히사 || 니시테쓰 라이온스 || 33
|-
| 1959 || 후지타 모토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스기우라 다다시 || 난카이 호크스 || 38
|-
| 1960 || 호리모토 리쓰오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9 || 오노 쇼이치 ||
2. 1. 단일 리그 시대
일본 프로 야구일본어 단일 리그 시대 최다 승리 투수는 다음과 같다.연도 | 성명 | 소속 | 승수 |
---|---|---|---|
1936 추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13 |
1937 춘계 | 사와무라 에이지 | 도쿄 교진군 | 24 |
1937 추계 | 니시무라 유키오 | 오사카 타이거스 | 15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
노구치 아키라 | 도쿄 세네터스 | ||
1938 춘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4 |
1938 추계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19 |
1939 | 빅토르 스타루힌 | 도쿄 교진군 | 42 |
1940 | 스다 히로시 | 도쿄 교진군 | 38 |
1941 | 모리 고타로 | 한큐군 | 30 |
1942 | 노구치 지로 | 다이요군 | 40 |
1943 | 후지모토 히데오 | 도쿄 교진군 | 34 |
1944 | 와카바야시 다다시 | 한신군 | 22 |
1946 | 시라키 기이치로 | 세네터스 | 30 |
1947 | 벳쇼 아키라 | 난카이 호크스 | 30 |
1948 | 가와사키 도쿠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7 |
나카오 히로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949 | 빅토르 스타루힌 | 다이에이 스타스 | 27 |
2. 2. 양대 리그 시대
- '''굵은 글씨'''는 리그 기록.
3. 주요 기록
-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는 사나다 시게오가 1950년에 기록한 39승이다.
-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는 이나오 가즈히사가 1961년에 기록한 42승이다.
- 단일 리그 시대를 포함하면 빅토르 스타루힌이 1939년에 기록한 42승이 최다승이다.
- 센트럴 리그 최소 승리는 랜디 메신저와 야마이 다이스케(2014년), 아오야기 고요와 구리 아렌(2021년), 아오야기 고요(2022년)가 기록한 13승이다.
- 퍼시픽 리그 최소 승리는 센가 고다이, 이시카와 슈타, 와쿠이 히데아키(2020년)가 기록한 11승이다.
3. 1. 여러 차례 수상자
선수 | 횟수 | 연도 |
---|---|---|
빅토르 스타루힌(스다 히로시) | 6 | 1937 추계, 1938 춘계, 1938 추계, 1939, 1940, 1949 |
사이토 마사키 | 5 | 1989, 1990, 1992, 1995, 1996 |
이나오 가즈히사 | 4 | 1957, 1958, 1961, 1963 |
노모 히데오 | 4 | 1990, 1991, 1992, 1993 |
와쿠이 히데아키 | 4 | 2007, 2009, 2015, 2020 |
가네다 마사이치 | 3 | 1957, 1958, 1963 |
스즈키 게이시 | 3 | 1969, 1977, 1978 |
야마다 히사시 | 3 | 1972, 1976, 1979 |
와타나베 히사노부 | 3 | 1986, 1988, 1990 |
야마모토 마사(야마모토 마사히로) | 3 | 1993, 1994, 1997 |
마쓰자카 다이스케 | 3 | 1999, 2000, 2001 |
스가노 도모유키 | 3 | 2017, 2018, 2020 |
야마모토 요시노부 | 3 | 2021, 2022, 2023 |
'''범례'''
- '''굵은 글씨'''는 NPB 현역
3. 2. 그 외의 기록
단일 시즌 최다승은 센트럴 리그에서 1950년 사나다 시게오가 기록한 39승이며, 퍼시픽 리그에서는 1961년 이나오 가즈히사가 기록한 42승이다. 단일 리그 시대를 포함하면 1939년 빅토르 스타루힌이 기록한 42승이다.[1]최소 승리는 센트럴 리그에서 2014년 랜디 메신저와 야마이 다이스케, 2021년 아오야기 고요와 구리 아렌, 2022년 아오야기 고요가 기록한 13승이며, 퍼시픽 리그에서는 2020년 센가 고다이, 이시카와 슈타, 와쿠이 히데아키가 기록한 11승이다.[1]
여러 구단에서 최다승을 획득한 선수로는 빅토르 스타루힌, 벳쇼 다케히코, 가와사키 도쿠지, 가네다 도메히로, 이와쿠마 히사시, 와쿠이 히데아키, 아리하라 고헤이가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